공동주택2 분양가 상한제란? 분양가 상한제는 집값의 마지노선을 정하는 제도로 부동산 정책이 개정될 때마다 많은 관심을 받는 제도입니다. 분양가 상한제가 무엇인지 적용대상은 어디까지인지, 분양가 상한제를 찬성하고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분양가 상한제란? 분양가 상한제란 일정한 지역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 분양 시 산정한 분양가격 이하로만 분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분양가 상한액은 택지비+건축비로 산정하게 됩니다. 택지비는 택지의 공급가격(감정평가액)+택지비 가산비로 산정하며, 건축비는 기본형 건축비+건축비 가산비로 산정됩니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대상 분양가 상한제 적용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공공택지 내 공동주택 2. 민간택지 투기과열지구 내 국토교통부 장관 지정지역 분양가 상한제 .. 2023. 8. 8. 주택 분류 유형별 특징 알아보기 주택을 유형별로 나눠보면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게 됩니다. 정확히 구분하기 위해 유형별 특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단독주택이란? 단독주택이라고 하는 것은 하나의 건물에 소유주 1명이 단독으로 등기가 되어 있는 주택을 말합니다. 개인별로 소유하는 게 아닌 소유자 1인으로 구성되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단독주택 외 다중주택과 다가구 주택도 단독주택의 범주안에 포함됩니다.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의 특징을 간단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단독주택 흔히들 알고 있는 한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에서 독립된 주거생활을 하는 주택입니다. 2. 다중주택 독립된 주거형태가 아니며, 바닥면적의 합계가 330㎡ 이하 + 3개 층 이하인 주택입니다 3. 다가구 주택 바닥면.. 2023. 7. 28. 이전 1 다음